서울대학교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
2025년도식품영양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비전을 제시하는
국내 최고의 경영자 프로그램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입학안내

입학정보에 대한 모든것을 안내해 드립니다.

교수진소개

서울대학교 교수님들을 소개해드립니다.

학과소개

서울대학교 학과를 소개해드립니다.

ABOUT
Advanced CEO Program in Food and Nutrition Business

서울대학교 식품영양산업 CEO과정

식품영양산업의 성공 핵심전략과 실무 적용 전략의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FNP 소식 더보기

서울대학교가 식품영양 관련 산업의 CEO들을 위한 특화된 경영기법을 체득하고 이를 실제 경영에 접목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7기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 의 입학식이 지난 3월 20일(목)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무궁화홀에서 이유리 생활과학대학장, 한성림 주임교수(식품영양학과), 김동권 FNP총교우회장(광주식품 농업회사법인), 김난도 교수(소비자학과) 등 입학생 및 내외귀빈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거행되었다.

\"\"<17기 입학식>

 

17기 과정에는 ㈜풀무원샘물 백동옥 대표이사, 원광미트라인 이광열 대표, ㈜다솜인터내셔널 정찬규 대표이사, ㈜해원에프엔비 최상훈 대표이사, ㈜포포인 함윤균 대표이사, ㈜고반홀딩스 이만재 대표이사, ㈜모닥홀딩스 김덕중 대표이사, ㈜마코푸드시스템 홍재성 대표이사, ㈜동원에프앤비 신해용 상무이사, ㈜선제 김병주 총괄상무, ㈜한국카라겐 김우태 상무이사, ㈜선봉식품 고원준 이사 등 국내 식품영양 및 외식, 유통산업을 선도하는 대표적 기업들의 경영진들이 대거 참석하였으며 입학생들은 극심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지혜를 얻고 나아가 동종업종 간 보다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자고 입을 모아 말하였다.

 

본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은 불확실성으로 점철되는 새로운 경영환경에 국내 식품영양산업계가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업 경영개론과 전략적 세부 경영기법, 식품관련 전문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16기 수업 전경>

 

이 과정의 특징은 식품의 영양학적 가지 증대, 혁신적 식품 가공 기술의 실제적 적용, 건강기능식품의 이해, 소비자의 관능적 만족을 위한 품질 향상, 안전한 식품 공급 방안, 식품의 유통 체계 및 유통 중 식품 품질 관리 등 식품과 영양의 체계적인 전문 지식을 습득 할 수 있으며, 식품영양산업 전문경영인이 갖추어야 할 지속적이며 전략적인 기업 경영 기법, 식품영양산업 정책의 이해, 식품 소비 트렌드 분석을 통한 판매 전략, 세계의 식문화 및 국제 식품영양산업의 트렌드 이해,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언론 활용 및 홍보 전략 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2024년 총교우회 경영인상 시상식 전경>

 

또 다른 특징으로는 본 과정 수료생에 한해서는 열린강좌를 통해 신규 커리큘럼이나 재수강을 원하는 강의에 대해 언제든지 무료 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평생 AS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교우회 활동을 통한 식품영양산업계 최고경영자간의 지식공유와 네트워크 형성으로 관련 비즈니스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7기의 첫 수업은 3월 27일부터이며 매주 목요일 17시~20시50분까지 두 강좌 수업을 진행한다.

 

입학문의는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최고경영자 과정 사무국

(TEL:02-880-5712 http://fnp.snu.ac.kr) 으로 하면 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373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이 주관하는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Advanced CEO Program in Food and Nutrition Business, 이하 FNP)은 불확실성으로 점철되는 새로운 경영환경에 국내식품업계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식품기업 경영개론과 전략적 세부경영기법, 식품관련 전문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난 2009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은 식품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해 나아갈 경영자를 위하여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을 개설한 바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서울대학교는 연구실에서의 성과가 식품산업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의 소중한 경험을 대학 교수들에게 환류하는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는데 이는 진정한 산학연계의 장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단연 돋보인다.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에서는 혁신적 식품가공 기술의 실제적 적용, 영양 불균형 해소를 위한 식품의 가치 증대, 건강 기능식품의 이해, 소비자의 관능적 만족을 위한 품질 향상, 안전한 식품 공급 방안, 식품의 유통 체계 및 유통 과정 중 식품 품질관리 등 식품과 영양의 체계적인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또한 과정을 통하여 식품산업 전문경영인이 갖추어야 할 지속적이며 전략적인 기업 경영기법, 식품산업 정책의 이해, 식품 소비 트렌드 분석을 통한 판매전략, 세계의 식문화 및 국제 식품산업의 트렌드 이해,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언론 활용 및 홍보 전략 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교수진과 정부 관계기관 및 식품산업 전문 경영인으로 구성된 최상의 강사진이 최고의 내용으로 강의를 이끌어 간다. 과정 이수 후에는 서울대학교 총장명의의 이수증서를 수여하며 서울대학교 총동창회원 자격이 부여된다.

정규 수업외에도 1박2일의 국내 워크숍, 해외 식품기업 및 박람회 연수, 교우 식품 기업방문, 총교우 체육대회, 총교우 포럼회 등, 기 수료한 교우들과 네트워크를 맺을 수 있는 다양한 활동도 준비되어 있다.

2009년 3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황종현 SPC삼립 대표이사, 정희련 풀무원샘물㈜ 대표이사, 김영식 ㈜푸드코아/조이푸드 회장, 김재홍 ㈜삼양패키징 대표이사, 오영철 일미농수산 회장, 김선희 매일유업㈜ 부회장, 공재기 ㈜에땅 회장, 김광중 ㈜엘도라도리조트 대표이사, 현철호 ㈜혜인식품(네네치킨) 회장, 나명석 ㈜웰빙푸드(자담치킨) 회장, 박철범 ㈜흥국에프엔비 대표이사, 김종원 HLB글로벌 대표이사, 김익수 ㈜채선당 대표이사 등 총 920여명의 경영자 및 주요 인사들이 이미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을 수료하였다.

2025년에 제17기를 맞이하는 서울대학교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의 수업은 2025년 3월 20일(목)부터 11월 20일(목)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5시에서 8시 50분까지 두 강의가 진행되며, 모집인원은 60명 내외이다.

참가대상은 식품제조 및 유통 관련산업 부문의 최고경영자, 식품산업 관련 기업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경영하고자 하는 임원급 이상의 경영자, 건강기능식품산업 임원급 이상의 경영자, 향후 식품영양산업으로 사업 확장을 원하는 경영자, 식품산업 관련 공무원, 기자, 변호사,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하며 접수마감은 2025년 2월 28일(금)까지 이다.

이현지 인턴기자 lee.hyunji2@joongang.co.kr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373

식품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비전을 제시하는 국내 최고의 식품 경영자 프로그램!”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이 주관하는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Advanced CEO Program in Food and Nutrition Business, 이하 FNP)은 불확실성으로 점철되는 새로운 경영환경에 국내식품업계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식품기업 경영개론과 전략적 세부경영기법, 식품관련 전문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난 2009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은 식품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해 나아갈 경영자를 위하여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을 개설한 바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서울대학교는 연구실에서의 성과가 식품산업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의 소중한 경험을 대학 교수들에게 환류하는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는데 이는 진정한 산학연계의 장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단연 돋보인다.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에서는 혁신적 식품가공 기술의 실제적 적용, 영양 불균형 해소를 위한 식품의 가치 증대, 건강 기능식품의 이해, 소비자의 관능적 만족을 위한 품질 향상, 안전한 식품 공급 방안, 식품의 유통 체계 및 유통 과정 중 식품 품질관리 등 식품과 영양의 체계적인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또한 과정을 통하여 식품산업 전문경영인이 갖추어야 할 지속적이며 전략적인 기업 경영기법, 식품산업 정책의 이해, 식품 소비 트렌드 분석을 통한 판매전략, 세계의 식문화 및 국제 식품산업의 트렌드 이해,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언론 활용 및 홍보 전략 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교수진과 정부 관계기관 및 식품산업 전문 경영인으로 구성된 최상의 강사진이 최고의 내용으로 강의를 이끌어 간다. 과정 이수 후에는 서울대학교 총장명의의 이수증서를 수여하며 서울대학교 총동창회원 자격이 부여된다.

정규 수업외에도 12일의 국내 워크숍, 해외 식품기업 및 박람회 연수, 교우 식품 기업방문, 총교우 체육대회, 총교우 포럼회 등, 기 수료한 교우들과 네트워크를 맺을 수 있는 다양한 활동도 준비되어 있다.

 

20093월부터 202411월까지 황종현 SPC삼립 대표이사, 정희련 풀무원샘물대표이사, 김영식 푸드코아/조이푸드 회장, 김재홍 삼양패키징 대표이사, 오영철 일미농수산 회장, 김선희 매일유업부회장, 공재기 에땅 회장, 김광중 엘도라도리조트 대표이사, 현철호 혜인식품(네네치킨) 회장, 나명석 웰빙푸드(자담치킨) 회장, 박철범 흥국에프엔비 대표이사, 김종원 HLB글로벌 대표이사, 김익수 채선당 대표이사 등 총 920여명의 경영자 및 주요 인사들이 이미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을 수료하였다.

 

2025년에 제17기를 맞이하는 서울대학교 식품영양산업 CEO 과정의 수업은 2025320()부터 1120()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5시에서 850분까지 두 강의가 진행되며, 모집인원은 60명 내외이다.

 

참가대상은 식품제조 및 유통 관련산업 부문의 최고경영자, 식품산업 관련 기업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경영하고자 하는 임원급 이상의 경영자, 건강기능식품산업 임원급 이상의 경영자, 향후 식품영양산업으로 사업 확장을 원하는 경영자, 식품산업 관련 공무원, 기자, 변호사,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하며 접수마감은 2025228()까지 이다.

 

[문의 및 접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최고위과정 사무국

전화(TEL:02-880-5712) 또는 홈페이지(http://fnp.snu.ac.kr)

이메일(alex2860@snu.ac.kr)을 통해 가능하다.

 

세미나 더보기

2025년 4월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

SEOUL NATIONAL UNIVERSITY

미래를 개척하는 지식공동체
Play Video